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정보는 바로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에 대한 정보입니다. 양도소득세 종류는 다양합니다. 대표적으로 부동산이 있겠지만 그외 많이 내는 것이 바로 토지 양도소득세 입니다.
토지 양도소득세란?
토지 양도소득세는 말 그대로 토지를 매매하면 필수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세금을 일컫습니다. 토지도 부동산과 마찬가지로 취득세, 양도세, 필요경비가 들어가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토지 양도소득세를 쉽게 계산하는 방법도 많습니다. 어플을 이용한다던지 홈페이지를 통해 계산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어떤 원리로 산출되는지 알아야 세금을 낼때도 합당하겠죠?
토지 양도소득세는 과세표정에서 토지 양도소득세율을 곲한 값입니다. 여기서 과세표준은 취득가액, 양도가액, 경비, 기본 공제를 모두 사용한 금액을 말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경비는 필수로 내야 하는 취득세, 양도세를 제외한 인지세, 법무사 비용, 재개발 부담금, 상수도 하수도 배관 공사 비용, 복비 등 부동산보다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 이러한 비용을 지불했다는 내용에 영수증이나 증명서를 제출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토지는 웬만하면 오래전 거래하거나 오랫동안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자료를 제출하지 못하면 당연히 토지 양도소득세는 올라가게 됩니다.
그리고 토지 양도소득세도 장기보유특별세를 적용 가능합니다. 10년 이상 가지고 있을 경우 30%에 가까운 비율로 공제가 됩니다. 토지는 특히 장기적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세금 공제 혜택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지금부터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간단하게 어플이나 공식홈페이지에서 계산할 수 있지만 그 과정을 알아야 어떤 곳에서 세금을 많이 내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해드리자면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양도차익 입니다. 여기서 양도차익 - 장기보유공제 - 기본공제 = 과세표준이 되니 과세표준 x 세율 = 산출세액이 되니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할 때는 단순히 양도가액이나 세율만 알고 있으면 안되고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사업용, 비사업용, 보유했던 기간, 경비 등을 다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을 확인해봤습니다. 모두 꼼꼼하게 확인하셔서 세금을 납부하는데 차질이 없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