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명절이나 차례를 지낼때 빠질 수 없는 차례상 차리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차례상을 정확히 차릴 수 있는 분들이 알고 보면 별로 없다는 거 알고 계신가요? 오늘 제가 그 방법을 정확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본 차례상 차림
가장 기본적인 차례상은 조상의 이름이 적힌 명패, 신위를 먼저 가장 위쪽에 두고 시작합니다. 그 다음 아래로 1열, 2열, 3열, 4열, 5열 순서대로 음식을 나열하는 차례상이 기본 차례상입니다.
지금부터 1열에서 5열까지 무슨 음식이 들어가고 어떻게 나열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1열에서는 밥은 서쪽, 국은 동쪽, 술잔은 밥과 국 사이에 놓고 송편을 올려줍니다.
2열에는 생선은 동쪽에 놓고 고기는 서쪽에 놓습니다. 여기서 주의사항은 생선을 놓을때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도록 하는게 원칙입니다.
3열에는 육탕, 소탕, 어탕 등의 세 종류의 탕을 차례로 올려야 합니다. 소탕은 두부와 채소류를 뜻하는 말로 갯수는 짝수가 아닌 홀수로 올려야 합니다.
4열에는 밑반찬을 올리는 열입니다. 말린고기 또는 육포를 가장 왼쪽에 둡니다. 그 다음 차례대로 삼색나물, 간장, 나박김치 등을 놓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우측에는 식혜를 놓습니다.
마지막 5열에는 붉은색 과일을 위주로 동쪽에 위치시킵니다. 흰색계열 과일은 서쪽으로 놓습니다. 그리고 좌측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서대로 올리고 호두와 망과류를 올리고 마지막으로 조과류를 올리면 마무리가 됩니다.
차례상 차림시 주의사항
차례상을 차릴때 위에서 언급했던것처럼 1열에서 5열까지 정확하게 나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주의사항들이 있습니다. 첫번째로 복숭아 계열의 털이 있는 과일은 제외시켜야 합니다.
예로부터 복숭아가 올라오면 조상이 집 안으로 들어올 수 없다고 합니다.
생선중에서 "치"로 끝나는 생선이 올라가면 안됩니다. 예를 들어 삼치, 꽁치, 갈치 등과 같이 "치"로 끝나는 생선은 살이 붉고 비린내가 나서 예로부터 상에 올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 고춧가루 및 마늘이 들어간 양념을 차례 음식에 사용하지 않는것이 기본이라고 합니다. 또한 짝수가 아닌 홀수 단위로 차례 음식을 놓아야합니다.
지금까지 차례상 차리는 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해서 소개해드렸습니다. 가족들이 오랜만에 모이는 명절인만큼 이것들을 꼭 지켜 즐거울 명절을 보내시길 바랍니다.